기억장치
* 기억장치
- 스택 (stack) - LIFO (후입선출 : 나중에 넣은 게 먼저 나옴), 정적 영역, 복귀주소(Return Address)
- 힙 (Heap) - 동적 영역 (프로그램이 실행될 때마다 변경됨)
- 데이터 - 정적
- 텍스트(코드 영역) - 명령어(코드)
> 스택의 후입선출은 자판기 동전의 예시를 들 수 있는데, 맨 마지막에 들어간 동전이 맨 위에 올라가면서 꺼낼 때도 맨 위의 동전을 꺼내게 된다. (Last-In-First-Out)
> 복귀주소는 해야 할 과제가 3개가 있다고 했을 때, 1번째 일, 2번째 일, 3번째 일이 할당이 되어있다. 이때, 1번째 일에 인터럽트가 끼게 되면 인터럽트를 해결하고 복귀주소로 찾아와서 2번째 일을 하게 됨
-> 이것과 관련된 해킹 공격이 버퍼 오버플로우이다. 복귀주소를 원래 10번이었다면 15번으로 덮어씌워서 착각을 일으키게 하는 공격
* 기억장치 종류 및 특징
- 레지스터 (Register)
- 캐시 (Cache)
- 주기억장치
- 보조기억장치
중앙처리장치
(레지스터가 여기 하단에 위치)
캐시 기억장치
주기억장치
보조기억장치
위로 올라갈수록 빠르고 비싸다. 중앙처리장치의 레지스터가 빠르고 캐시 기억장치가 그 다음 빠르다.
RAM vs ROM
RAM | ROM |
휘발성 | 비휘발성 |
읽기/쓰기 가능 | 읽기만 가능 (Read Only Memory) |
전원 공급안되면 정보가 날아감 | 전원공급이 안되도 정보가 유지됨 |
캐시 기억장치는 RAM 중에서도 SRAM을 사용한다.
운영체제 개요
운영체제(OS) : 사용자와 하드웨어 사이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.
* 운영체제 종류 : 윈도우, 유닉스
* 운영체제 목적
- 처리능력 향상
- 신뢰도 향상
- 응답시간의 단축
- 사용가능도 향상
* 운영체제 기능
- 프로세서관리 - 프로세서 스케줄링
- 메모리관리 - 메모리 할당, 회수
- 프로세스관리 - 프로세스 생성, 제거
- 주변장치관리 (입출력) - 입출력장치 스케줄링
- 파일시스템 관리 - 파일 생성, 소멸
사용자
5계층 - 파일 시스템 관리
4계층 - 주변장치 관리
3계층 - 프로세스 관리 운영체제 (OS)
2계층 - 메모리관리
1계층 - 프로세서관리 H/W (하드웨어)
'Study > 정보보안기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 정보보안기사 ] 시스템 보안 #3 - 데이터 입출력 방식 (0) | 2023.08.27 |
---|---|
[ 정보보안기사 ] 시스템 보안 #2 - 운영체제 구조, 발전 (0) | 2023.08.24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