원래 GitHub이라는 걸 이름만 알고 있었지 첫 커밋이란 것도 최근에 해보았다
사실 얼레벌레 구글링한걸 따라치다보니 된 느낌이라 테스트용으로 다른 레포지토리를 열어 다시 한번
커밋해보아야겠다고 생각했다
테스트용으로 간단한 html 파일을 하나 만들었다. index.html
쓰다보니 알게된건데 VSC에는 GIT표시가 나와있었다..
VSC 꽤 썼다고 생각했는데 GIT을 알고난뒤에야 이게 보인다..역시 사람은 아는 만큼 보이는듯
git에 익숙해져야겠다고 생각한 내 의도와 저 버튼 연구는 의중이 딱 맞아떨어졌다
저 체크표시를 누르면 Commit이 바로 되는데,
저기 Message를 치면
git commit -m "어쩌구"
이 코드와 같은 효과를 낸다
커밋 후에 git에서 알려준 코드 3줄을 복사해 냅다 입력했더니 푸시가 안된다는 error가 떴다
git init으로 다시 깃 저장소를 초기화한 후, 차근차근 진행해보았습니다
git add . 로 프로젝트 내의 파일을 추가해주고
다시 git commit -m "원하는 말"
입력해줍니다
git remote add origin "git 주소"
치고
git push를 master로 했더니 또 젠장할 푸시 에러가 떴습니다!!
마음을 가다듬고 branch main으로 했더니 드디어 성공했네요...이거 알아보느라 몇시간을 날린건지 ㅠㅠ
첫 레포지토리는 master가 되고 그 다음부터는 main으로 설정되는지 디폴트인가봅니다.
git에 들어가 확인해보니 잘 등록되었습니다
Git Pull 과 Push 차이
Pull은 원격 저장소에 있는 걸 로컬 저장소로 가져오는 것이고,
Push는 로컬 저장소에 있는 걸 원격 저장소로 보내는 것이다.
'Study > 네트워크 공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 네트워크 공부 ] TCP/IP 통신과 FTP (0) | 2023.08.31 |
---|---|
가상머신 Virtualbox 해상도 조절하기 (0) | 2023.06.17 |
Burp Suite에서 SSL 적용된 웹사이트 접속 설정하기 (0) | 2023.06.04 |
[Virtualbox 포트포워딩] 내 웹 서버 다른 컴퓨터로 접속하기 (0) | 2023.05.28 |
GitHub 첫 이용해보기 - 프로젝트 Commit 하는 법 (0) | 2023.05.26 |